KT,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월드컵 국제방송중계망 구축 완료

- 싱가포르와 런던의 해외거점시설과 국제해저케이블 활용해 다중 경로 구축
- ‘님브라’ 장비 활용한 ‘히트리스’ 기능 적용으로 끊김 없는 영상 실시간 송출
- 품질 테스트 및 긴급 복구 훈련 등 철저한 사전 준비로 무결점 서비스 지원

김은호 | 기사입력 2022/11/15 [10:45]

KT,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월드컵 국제방송중계망 구축 완료

- 싱가포르와 런던의 해외거점시설과 국제해저케이블 활용해 다중 경로 구축
- ‘님브라’ 장비 활용한 ‘히트리스’ 기능 적용으로 끊김 없는 영상 실시간 송출
- 품질 테스트 및 긴급 복구 훈련 등 철저한 사전 준비로 무결점 서비스 지원

김은호 | 입력 : 2022/11/15 [10:45]

KT(대표이사 구현모) 20(현지시간)부터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월드컵을 위한 국제방송중계망 구축을 완료했다고 15일 밝혔다..

 

▲ KT 강북강원광역본부장 안치용 전무가 카타르 월드컵 국제방송중계망 개통을 진행하고 있다.  © 인디포커스

 

▲ KT 강북강원광역본부장 안치용 전무(앞줄 왼쪽 네 번째)가 직원들과 카타르 월드컵 국제방송중계망 개통식을 마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인디포커스



KT는 지난 5월 카타르 월드컵 국제방송중계망 주관 통신사로 단독 선정됐다이후 카타르 현지에 KT 기술진을 파견해 끊김 없는 방송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했다작업이 마무리된 14일에는 KT 서울국제통신센터에서 국제방송중계망 개통식을 진행했다.

 

현지 경기장에서 촬영된 영상은 싱가포르런던의 KT 해외거점시설(PoP)과 부산국제통신센터에서 관제 및 운용하는 APG(Asia Pacific Gateway), KJCN(Korea-Japan Cable Network), APCN2(Asia-Pacific Cable Network 2) 등 대용량 국제해저케이블을 경유해 서울국제통신센터에 도착한다. KT는 이 영상을 지상파 3사에 제공해 국민들에게 월드컵 현장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KT는 끊김 없는 방송을 위해 국제해저케이블 구간을 주요 경로 2개와 예비 경로 3개로 다중화했다이로써 카타르 도하의 국제방송센터(IBC)와 한국 지상파 3사 사이에 총 5개의 경로가 마련됐다만약 한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즉시 다른 경로로 우회하면 된다..

 

특히 방송중계시스템에 ‘히트리스(Hitless)’ 기능을 적용했다히트리스는 중계 중 장애가 발생해 다른 경로로 신호를 받고자 할 때경로가 변경되는 짧은 순간에도 방송이 끊기지 않고 송출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다이 기능에는 여러 경로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한 뒤 정상적인 신호만으로 조합해 발신할 수 있는 ‘님브라(Nimbra)’ 장비가 핵심적으로 활용됐다.

 

KT는 방송중계시스템 외에도 전 서비스에 대한 철저한 사전 품질 테스트 및 긴급 복구 훈련을 마쳤다다양한 돌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대회가 끝나는 12 18일까지 종합 상황실을 개설해 비상 근무 체계에 돌입한다현지에 파견된 방송 관계자기자단월드컵 관계자를 위한 국제 전화 및 인터넷 서비스도 제공한다.

 

 

 

 

KT 강북강원네트워크운용본부장 이상일 상무는 “KT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대회 공식 주관 통신사업자로서 경험과 노하우를 쌓았다라며 “카타르 월드컵에서도 태극전사들의 선전하는 모습을 담은 안정적인 고품질의 방송 중계 서비스를 제공해 국민들에게 뜨거운 감동을 선사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이메일 : hunjangi@hanmail.net>
kt, 카타르 월드컵 국제방송중계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